[출근길 인터뷰] 반백 년 여의도 시범아파트 생활상, 전시로 만나요<br /><br />[앵커]<br /><br />한국 최초의 단지형 고층 아파트, 어딘지 아십니까?<br /><br />바로 52년 역사를 자랑하는 여의도 시범아파트입니다.<br /><br />긴 역사를 뒤로하고 재건축을 앞둔 이 시범 아파트의 변화상을 다룬 전시가 한창인데요.<br /><br />출근길 인터뷰에서 만나보겠습니다.<br /><br />뉴스캐스터 연결합니다.<br /><br />박서휘 캐스터.<br /><br />[캐스터]<br /><br />월요일 출근길 인터뷰에서는 전시 큐레이터인 홍익대학교 건축학부 정윤천 교수를 만나 얘기 나눠보겠습니다. 안녕하세요.<br /><br />[정윤천 / 홍익대학교 건축학부 교수]<br /><br />네, 안녕하세요.<br /><br />[캐스터]<br /><br />서울은 아파트 공화국이라 해도 과언이 아닌데요. 많은 아파트 중에 여의도 시범 아파트를 주목할 이유가 있을까요?<br /><br />[정윤천 / 홍익대학교 건축학부 교수]<br /><br />여의도 시범 아파트를 통해서 서울의 역사를 보고자 했습니다. 여의도 시범아파트는 최초의 고층 단지형 아파트이고요.<br /><br />이후에 서울의 지금 현재 모습을 가지고 있는 고층 아파트 단지의 원형이 되는 건축물입니다.<br /><br />또 여의도 시범아파트는 당시에 지어진 다른 아파트 단지와는 차별화된 특성을 가지고 있고요. 동시대 최신식 건축 이론이 다 이렇게 접목이 되어 지어진 아파트입니다.<br /><br />그런 의미에서에 시범아파트를 바라보게 됐고요. 많은 서울 시민들의 공감을 얻을 수 있을 것이라고 생각했습니다.<br /><br />[캐스터]<br /><br />그렇다면 여의도 시범아파트에 어떤 부분이 좀 담겨 있는 건가요?<br /><br />[정윤천 / 홍익대학교 건축학부 교수]<br /><br />실제로 여의도 시범 아파트를 아파트로 보는 것이 아니라 건축으로 보고자 했고요.<br /><br />실제로 여의도 시범 아파트가 만들어지기까지의 건축 기록들이 담겨 있고 또 이후에 실현되지는 않았지만 계획된 여의도 아파트 단지 계획에 관련된 내용들도 담겨 있습니다.<br /><br />또 여의도 시범 아파트의 어떤 변화들 또 내부, 외부 공간의 변화 그리고 또 재료라든지 당시에 건설 기술들이 접목된 부분들도 포함돼 있습니다.<br /><br />또 전시회에는 다양한 시선을 담고자 했고요. 또 연구자, 화가, 사진작가들 다양한 사람들이 참여해서 다양한 시선들을 전시에 담고자 했습니다.<br /><br />[캐스터]<br /><br />전시를 준비하면서 찾아낸 의미가 있을까요?<br /><br />[정윤천 / 홍익대학교 건축학부 교수]<br /><br />실제로 전시를 준비하면서 저희가 발견된 의미는 서울이란 도시가 상당히 유연하다는 부분입니다.<br /><br />건축가는 건축의 틀을 만들고 완성하는 것은 시민들이라고 생각을 하는데요. 실제로 여의도 시범아파트는 지난 반세기 동안 거주민들에 의해서 다양한 방식으로 변화되어 왔고요. 그 자체가 또 건축의 의미라고 생각을 합니다.<br /><br />또 그 자체를 통해서 여의도 혹은 서울의 어떤 유연성을 발견했습니다.<br /><br />[캐스터]<br /><br />관람객들의 반응도 궁금한데요.<br /><br />[정윤천 / 홍익대학교 건축학부 교수]<br /><br />지난 토요일 날 실제로 관람객들을 상대로 토크를 진행을 했는데요. 많은 분들이 찾아오셨고요.<br /><br />실제로 저희 전시가 건축뿐만이 아니라 화가, 사진작가 그다음에 조경 전문가 등 다양한 사람들이 참여하고 있어서 많은 시민들이 또 다양한 시선들을 바라볼 수 있는 계기가 되었던 것 같습니다.<br /><br />[캐스터]<br /><br />요즘 재건축, 재개발이 확산되고 있는데요. 옛 모습이 사라지기 전에 좀 주목하면 좋을 만한 장소가 있을까요?<br /><br />[정윤천 / 홍익대학교 건축학부 교수]<br /><br />실제로 돌아볼 때 사람들이 건축물을 어떤 물리적인 어떤 형태, 공간으로만 바라보고 있는데요.<br /><br />저는 장소적인 가치를 발견해야 된다고 생각을 하고 있고요. 실제로 장소적인 가치는 이야기를 담고 있습니다. 많은 서울의 지역들이 현재 재개발을 통해서 변화될 어떤 상황에 처해 있는데요.<br /><br />여의도에도 아파트뿐만이 아니라 70년대, 80년대 지어진 고층 오피스 건물들 그런 것들도 저희가 좀 눈여겨 볼 필요가 있고요.<br /><br />또 한강변을 중심으로 많이 발전이 된 지역들. 노량진라든지 또 최근에 많이 주목받고 있는 용산이라든지 이촌동 그쪽들도 역사와 함께 많은 이야기가 담겨 있는 길들과 건물들이 있습니다.<br /><br />그런 부분들을 이렇게 찬찬히 둘러보시면 앞으로의 어떤 서울의 변화의 모습들도 예상할 수 있을 것 같고요.<br /><br />또 과거에 어떻게 저희가 여기까지 왔는지 그 모습도 볼 수 있을 것이라고 생각합니다.<br /><br />[캐스터]<br /><br />오늘 좋은 말씀 고맙습니다.<br /><br />[정윤천 / 홍익대학교 건축학부 교수]<br /><br />감사합니다.<br /><br />[캐스터]<br /><br />지금까지 출근길 인터뷰였습니다.<br /><br />(박서휘 캐스터)<br /><br />#여의도시범아파트 #아파트 #아파트변화상<br /><br />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: 카톡/라인 jebo23<br /><br />(끝)<br /><br />